섬유공학기술자, 하는일과 연봉 및 미래 전망은?

섬유공학기술자, 하는일과 연봉 및 미래 전망은?

오늘은 섬유공학기술자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

 

섬유공학기술자

 

 

하는일

  • 섬유공학기술자는 공학기술을 이용하여 천(직물), 옷, 양물 등에 사용되는 여러 섬유제품의 품질을 연구하고, 새로운 첨단의 섬유소재를 연구하고 개발하는 일을 담당한다.
  • 섬유의 종류와 성질에 대해 실험하고 분석하여 새로운 섬유 소재 제품을 개발하며, 섬유 소재의 품질향상을 위한 연구를 한다.
  • 섬유제조장치를 설계하고 가공공정을 개선하고, 직물, 방사, 섬유제품을 위한 공정, 장비 및 절차를 설계하고 개발한다.
  • 양모, 토끼털, 캐시미어, 낙타털, 물소털, 깃털 등 동물섬유와 무명, 아마, 황마 등 식물섬유 및 합성섬유를 분석하고, 제조된 섬유제품을 분석한다.
  • 섬유구조의 인장력 시험, 열,빛,화학약품에 대한 안정성 시험 등 품질관리를 위한 시험을 연구한다
  • 새로운 섬유소재의 염색기법 등을 개발하기도 하고, 산업체 현장에서 섬유소재의 품질관리 및 생산관리 업무를 수행하기도 한다.

 

 

적성 및 흥미

  • 섬유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은 평소 옷의 디자인이나 재질에 대해서 관심이 있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 주변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섬유와 소재에 대한 제조 방법, 특성과 기능, 섬유가 어떻게 촉감과 색상을 가지게 되었는지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있으면 좋다.
  • 화학, 물리, 수학과 같은 기초 과학 과목에 흥미가 있으면 도움이 된다.
  • 새로운 것을 잘 발견하고 창의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능력과 관련된 신기술을 습득하거나 발견하기 위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 신소재 개발을 위한 창의력과 분석적 사고가 요구되며,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실험할 수 있는 체력과 인내심, 끈기가 필요하다.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 공채나 특채를 통해 방적, 화학섬유, 합성섬유, 면방, 모방, 염색가공업체와 섬유관련 연구소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 일부 섬유관련 연구소에서는 석사 이상의 학력을 요구하기도 하므로 지원 조건을 꼼꼼하게 확인하는 것이 좋다.

  • 고용현황

    섬유공학기술자를 포함한 공학 전문가 및 기술직의 종사자 수는 805,000명이며, 향후 10년간 고용은 연평균 1.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자료: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하지만 1960년대 부터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을 이끌어온 섬유산업은 인건비 상승, 생산비 증대, 생산설비 과잉 등으로 인해 해외이전을 통해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섬유산업 전반적으로 고용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 임금수준

    섬유공학기술자를 포함한 섬유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의 평균연봉(중위값)은 4390만원이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하위(25%) 3585만원, 평균(50%) 4390만원, 상위(25%) 5217만원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 섬유공학기술자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교의 섬유공학과 관련된 학과를 졸업해야 하며, 연구·설계분야에서는 섬유공학 분야의 석사 이상의 학위를 요구하기도 한다.
    - 섬유공학과, 섬유시스템공학과, 신소재공학부 등에서는 섬유고분자화학, 섬유고분자물리, 방적학, 제포공학, 염료화학 등 섬유에 관한 제반이론과 생산기술을 응용한 섬유기능성가공, 어패럴공학 등 섬유공정 분야에 필요한 지식 등을 교육한다.

  • 관련 자격증

    -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섬유산업기사 및 기사, 섬유기술사, 의류기사, 의류기술사가 있다.

 

직업전망

- 섬유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은 임금은 다른 직업에 비해 좋은 편이고 복리후생은 전체 직업 평균과 비슷한 편이다.
- 취업경쟁이 적은 편이며, 기술과 연구의 지속성이 요구되어 고용이 비교적 안정적이다.
- 근무시간이 그다지 길지 않고, 정신적ㆍ육체적 스트레스의 정도가 낮아 근무여건은 비교적 좋은 편이다.
- 어느 정도의 전문지식이 요구되지만 실제 현장 경험이 더 중요한 편이다. 업무자율성이나 업무권한이 많이 부여되지는 않는 편이다.
- 연구직으로서 성별 차별이 적어 양성평등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다.
- 다른 직업에 비해 고령자에게 친화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